전국 일본뇌염 경보 발령 – 예방수칙 및 접종 권고사항
전국 일본뇌염 경보 발령 – 예방수칙 및 접종 권고사항

 

 

 

오늘은 꼭 알아야 할 중요한 건강 소식을 전해드리려고 합니다. 질병관리청에서는 7월 25일 자로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하였습니다. 경남과 전남 지역에서 채집된 모기의 50% 이상이 일본뇌염 매개모기(작은 빨간집모기)로 확인된 결과에 따른 조치입니다. 일본뇌염 예방을 위해 모기물림 예방수칙 준수 및 예방접종 대상자 접종이 매우 중요합니다. 자세한 내용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.

 

일본뇌염 경보 발령 배경

 

 

 

질병관리청의 일본뇌염 매개모기 감시체계 운영 결과, 7월 24일(30주차)에 경남과 전남에서 채집된 작은 빨간 집모기가 전체 모기의 63.2%(2,456마리/3,884마리), 58.4%(1,684마리/2,878마리)를 차지하여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가 발령되었습니다. 이는 작년(2023년 7월 27일)과 동일한 시기에 발령된 것입니다.

 

일본뇌염 주의보 및 경보 발령 기준

 

주의보: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 빨간집모기가 당해연도 최초 채집될 시

발령 경보: 다음 4가지 중 한 가지 이상 해당 시 발령

 

1. 주 2회 채집된 모기의 1일 평균 개체수 중 작은 빨간 집모기가 500마리 이상이면서 전체 모기밀도의 50% 이상일 때 채집 2. 된 모기로부터 일본뇌염 바이러스가 분리된 경우

3. 채집된 모기로부터 일본뇌염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된 경우

4. 일본뇌염 환자가 발생했을 경우

 

일본뇌염 매개모기 – 작은 빨간 집모기 작은 빨간 집모기는 논, 동물축사, 웅덩이 등에 서식하며 주로 야간에 활동하는 암갈색의 소형모기입니다. 우리나라 전역에서 발생하며 8~9월에 매개모기 밀도가 정점에 달하고, 10월 말까지 활동합니다.

 

일본뇌염 증상 및 예방접종

 

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주로 발열, 두통 등의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지만,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될 경우 고열, 발작, 목 경직, 착란, 경련, 마비 등의 심각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 뇌염으로 진행될 경우 사망률은 2030%이며, 생존자의 3050%는 신경계 합병증을 겪을 수 있습니다.

 

국내 일본뇌염 환자는 매년 20명 내외로 발생하며, 대부분 89월에 첫 환자가 신고되고 11월까지 발생합니다. 최근 5년간(2019년 2023년) 일본뇌염 환자 91명 중 50대 이상이 87.9%를 차지하였으며, 지역별로는 경기, 서울, 강원 순으로 발생했습니다.

 

예방접종 권고사항

 

효과적인 일본뇌염 백신이 있으므로, 국가예방접종 지원대상인 2011년 이후 출생자는 표준 예방접종 일정에 맞춰 접종할 것을 권고드립니다.

 

○과거 일본뇌염 예방접종 경험이 없는 18세 이상 성인 중 다음과 같은 경우 예방접종을 권장합니다

○ 위험지역(논, 돼지 축사 인근)에 거주하거나 전파시기에 위험지역에서 활동 예정인 경우

○ 비유행 지역에서 이주하여 국내에 장기 거주할 외국인

○ 일본뇌염 위험국가 여행자

 

일본뇌염 모기물림 예방수칙

 

√  야외 활동 시 4월 10월 야간(일몰 직후일출 직전) 야외 활동 자제

  밝은 색 긴 옷, 품이 넓은 옷 착용, 노출된 피부나 옷, 신발 상단, 양말 등에 모기 기피제 사용

  진한 향수나 화장품 사용 자제 실내 모기 침입 예방을 위해 방충망 정비 및 모기장 사용

  가정 및 주위환경 방충망 점검 또는 모기장 사용 집 주변의 물 웅덩이, 막힌 배수로 등 고인 물 제거

 

여름철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시기,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하고, 예방접종 대상자는 접종일정에 맞춰 접종하시기 바랍니다. 모두 건강한 여름 보내세요! 감사합니다.

반응형